바이오매스 (biomass)란 어느 시점에 임의의 공간내에 존재하는 특정한 생물군(生物郡)의 양을 중량이나 에너지량으로 나타낸 현상. 생물체량(生物體量) 또는 생물량이라고도 한다.
바이오매스 변환 지구상의 생물권(生物圈)에는 동식물의 유체(遺體)를 미생물이 분해하여 무기물(無機物)로 환원시킨다는 물질순환 사이클이 있는데, 이 미생물(분해자)을 대신하여 인간이 이것을 에너지나 유기원료로 이용하자는 것이다. 마른잎이나 짚으로 밥을 짓거나 장작불로 증기기관차나 자동차를 굴리고 횃불로 어둠을 밝히는 것 등은 바이오매스의 직접적인 이용이며, 목재를 구워 숯을 만들고 미생물을 사용하여 알코올을 만들거나 메탄가스를 발생시키고 풀이나 짚을 썩혀 퇴비를 만드는 일 등은 바이오매스의 변환이용이다. 현재의 에너지원(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는 멀지 않은 장래에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고 이으며, 이를 대신할 에너지원의 필요성이 요청된지 오래다. 광합성의 연구로 1961년에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 M.캘빈은「석유고갈시대를 대비하여 식물을 매체로 한 대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자」고 제창하였으며, 76년 9월에 열린 미국화학회에서는「석유가 나는 나무(유포르비아 라티리스ㆍ푸른산호)를 발견하였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후 78년말부터 시작된 제2차 석유파동을 계기로 세계 각국에서는 바이오매스 이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일본에서는 코알라의 식수로 알려진 유칼립투스의 잎에서 채취한 기름이 가솔린을 대신하여 자동차의 연료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주조법과 같은 발효법으로 사탕수수나 카사바로부터 알코올을 뽑아 가솔린에 혼합해서 만드는 가소홀(gasohol)의 연구도 활발하여 브라질이나 미국에서는 이미 일부 실용화되고 있으며, 알코올만으로 달리는 자동차도 있다. 바이오매스 이용에 특히 관심이 깊은 나라는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 등지의 비산유개발 도상국들로서, 석유를 구입할 외화가 부족하므로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 개발이 주요당면과제로 되어 있다. |
'경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와 <세금> (0) | 2011.04.29 |
---|---|
증여세 납부의무 (0) | 2011.04.13 |
(내일신문) 태양광·전기차용 전지·바이오 분야 주목 (0) | 2011.01.11 |
브릿지 론 (Bridge Loan) (0) | 2010.12.28 |
6차례 포화 뚫은 ‘오뚝이 한국경제’… 이번에도 이겨낼까 ? (0) | 2010.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