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退溪)선생의 매화 詩와 두향 이야기
![](https://t1.daumcdn.net/cfile/blog/150E611B4B884CFE32)
매화를 노래한 수많은 조선의 선비들 중에 퇴계(退溪) 이황(李滉) 만큼
매화(梅花) 사랑이 각별했던 이도 없다.
매화에 대한 시 91수를 모아 ‘매화시첩’으로 묶을 정도로 매화 사랑이 각별했다.
이렇게 놀랄 만큼 큰 집념으로 매화를 사랑한 데는 이유가 있었다.
바로 단양군수 시절에 만났던 관기(官妓) 두향(杜香) 때문이었다.
퇴계 선생이 단양군수로 부임한 것은 48세 때였다.
그리고 두향의 나이는 18세였다.
두향은 첫눈에 퇴계 선생에게 반했지만
처신이 풀 먹인 안동포처럼 빳빳했던 퇴계 선생이었던 지라
한 동안은 두향의 애간장을 녹였다.
그러나 당시 부인과 아들을 잇달아 잃었던 퇴계 선생은
그 빈 가슴에 한 떨기 설중매(雪中梅) 같았던 두향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두향은 시(詩)와 서(書)와 가야금에 능했고 특히 매화를 좋아했다.
두 사람의 깊은 사랑은 그러나 겨우 9개월 만에 끝나게 되었다.
퇴계 선생이 경상도 풍기 군수로 옮겨가야 했기 때문이었다.
두향으로서는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변고였다.
짧은 인연 뒤에 찾아온 갑작스런 이별은 두향이에겐 견딜 수 없는 충격이었다.
이별을 앞둔 마지막 날 밤, 밤은 깊었으나 두 사람은 말이 없었다.
퇴계가 무겁게 입을 열었다.
"내일이면 떠난다. 기약이 없으니 두려운 뿐이다."
두향이가 말없이 먹을 갈고 붓을 들었다.
그리고는 시 한 수를 썼다.
이별이 하도 설워 잔 들고 슬피 울어
어느덧 술 다 하고 님 마저 가는구나
꽃 지고 새 우는 봄날을 어이할까 하노라
이날 밤의 이별은 결국 너무나 긴 이별로 이어졌다.
두 사람은 1570년 퇴계 선생이 6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21년 동안 한 번도 만나지 않았다.
퇴계 선생이 단양을 떠날 때 그의 짐 속엔
두향이가 준 수석 2개와 매화 화분 하나가 있었다.
이 때부터 퇴계 선생은 평생을 이 매화를 가까이 두고 사랑을 쏟았다.
퇴계 선생은 두향을 가까이 하지 않았지만 매화를 두향을 보듯 애지중지했다.
선생이 나이가 들어 모습이 초췌해지자 매화에게 그 모습을 보일 수 없다면서
매화 화분을 다른 방으로 옮기라고 했다.
퇴계 선생을 떠나보낸 뒤 두향은 간곡한 청으로 관기에서 빠져나와
퇴계 선생과 자주 갔었던 남한강 가에 움막을 치고 평생 선생을 그리며 살았다.
퇴계 선생은 그 뒤 부제학, 공조판서, 예조판서 등을 역임했고
말년엔 안동에 은거했다.
그리고 세상을 떠날 때 퇴계 선생의 마지막 한 마디는 이것이었다.
"매화에 물을 주어라."
선생의 그 말속에는 선생의 가슴에도 두향이가 가득했다는 증거였다.
前身應是明月
내 전생은 밝은 달이었지.
幾生修到梅花
몇 생애나 닦아야 매화가 될까?
퇴계 선생의 시 한 편이다.
퇴계 선생의 부음을 들은 두향은 4일간을 걸어서 안동을 찾았다.
한 사람이 죽어서야 두 사람은 만날 수 있었다.
다시 단양으로 돌아온 두향은 결국 남한강에 몸을 던져 생을 마감했다.
두향의 사랑은 한 사람을 향한 지극히 절박하고 준엄한 사랑이었다.
그 때 두향이가 퇴계 선생에게 주었던 매화는
그 대(代)를 잇고 이어 지금 안동의 도산서원 입구에 그대로 피고 있고
오늘날 사용하는 1000원권 지폐에도 퇴계의 얼굴과 함께 서원의 영원히 살아 있다.
퇴계 이황이 사랑하는 두향에게
黃卷中間對聖賢 (황권중간대성현)
옛 성현의 오래된 책을 대하며
虛明一室坐超然 (허명일실좌초연)
초연히 밤을 새워 앉아 있노니
梅窓又見春消息 (매창우견춘속식)
창가에 다시금 봄 소식 보게하여
莫向瑤琴嘆絶絃 (막향요금탄절현)
기막힌 비파소리 대하는 듯 싶네
사진 / Blue Gull
http://cafe.daum.net/snua10/6KNW/6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