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이름 없는 많은 떠돌이 화공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한편으로는 궁궐의 장식, 기록의 필요성으로 해서 기교가 뛰어난 전문적인 도화서 화원들이 활동했다.
우리 민화는 그 특성의 반복성, 일반성으로 해서 서민대중화와 궁중화를 다 포함시킨다. 그림의 특질로는 시공과 현실을 초월한 구성과 강렬한 색상 대비, 공통의 세계관과 감수성의 주제, 같은 유형의 틀을 갖고 있다.
'예술 문화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센조 나탈리 "변종생명체 탄생 後 창조자와 피조물의 이야기" (0) | 2010.06.21 |
---|---|
1850년대의 생활 모습 (0) | 2010.06.16 |
놀라운 종이 조각 작품 (0) | 2010.04.20 |
마광수의 그림 세계 (0) | 2010.04.07 |
과연 우리는 터키의 형제국인가 (0) | 2010.04.03 |